밭작물 관리
❍ (보리·밀) 월동기간 중 알맞은 토양수분이 유지되어야 뿌리생육이 양호하며 논 재배 포장은 배수구를 잘 정비하여 습해를 예방함
❍ (감자) 겨울 시설재배는 재배지역에 따라 온화한 곳에서는 일찍 심을수록 유리하며 남부지방은 1월 중순까지가 파종 적기임
- 파종할 때 알맞은 감자 싹의 길이는 3~5㎝이며 뿌리의 발달이 충분해야 파종 후 뿌리내림이 좋고 초기 생육이 왕성함
- 싹틔움 상에 너무 오랫동안 키워 잎이 전개된 모는 뿌리내림이 늦으므로 잎이 전개되기 직전에 파종하고 감자묘를 채취할 때는 채취 하루 전 또는 2~3시간 전에 충분히 물을 주어 채취 시 뿌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함
- 파종 방법으로 폭이 좁은 이랑에 1줄 재배는 토양용적이 적어 건조되기 쉬우므로 넓은 폭에 2열 재배가 감자 생육과 수량에 유리함
- 파종 후 1주일 정도 지나 감자 싹이 지표면에 올라오면 싹 부분의 비닐에 구멍을 뚫고 절개한 부분으로 잡초가 올라오는 것을 막고 온도유지, 수분보존을 위해 절개 부분을 흙으로 덮어줌
- 역병균은 균사상태로 씨감자에서 월동하여 전염되므로 철저한 예찰과 저온이고 습도가 높을 때는 예방 위주로 전용 약제를 살포함
- 토양습도가 높고 저온일 때 검은무늬썩음병도 많이 나오는데 과습토양을 피하고 씨감자를 심기 전 산광 싹틔우기 해서 심으면 병 발생을 줄일 수 있음
종자 신청 및 사전 준비
❍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방법에 따라 우량종자를 준비토록 하며 약제 및 전용비로 등 각종 자재는 미리 준비함
- 내년도 종자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형립, 손상립, 협잡물이 섞이지 않도록 정선을 실시함
- 종자의 수명과 활력을 오래 유지하려면 알맞은 저장 온도와 습도에 보관하고 병충해, 쥐 피해 등을 받지 않도록 관리함
시설채소
환경관리 및 폭설대비
❍ (환경 관리) 겨울철 작물별 적정 습도유지로 생육관리 및 병 예방
- 보온커튼은 해가 뜨는 즉시 걷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관리
- 작물별로 생육 시기별 최저 한계 온도를 확보하여 동해 예방
❍ (폭설 대비) 하우스 동 사이는 1.5m 이상 확보하고 제설장비 준비
- 비닐하우스 끈을 팽팽하게 당겨두어 눈이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함
- 노후 되거나 붕괴 우려 등 재해에 취약한 하우스는 보강지주를 설치함
- 겨울철 휴작일 때는 비닐을 미리 걷어 피해를 예방
- 외부 보온덮개나 차광망 설치 시에는 눈이 잘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도록 비닐을 덮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함
- 눈이 녹은 물이 비닐하우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고 비닐을 씌워 습해를 예방함
주요작물 관리
❍ (토마토) 일조부족, 저온, 과습 시 잎과 줄기가 가늘어지며 동화양분 부족에 의해 착과율 감소, 과실 비대와 착색이 늦고, 곰팡이 병 발생
- 정식밀도 조절, 노화 잎과 이병 된 잎 제거, 화방당 착과 수 조절, 관수량을 줄임, 양액 공급량을 줄이고 EC를 높여 관리함
❍ (딸기) 광합성 저하 및 낮은 지온은 양분흡수가 불량하여 생육부진, 왜화(작은 꽃)되어 약한 화방출현 및 착과 불량, 잿빛곰팡이병 발생
- 주간 환기, 야간 보온관리로 적온유지, 오전 관수로 시설 내 과습 방지
❍ (오이) 줄기가 가늘고 연약하게 자라며 착과가 어렵고 곡과, 낙과, 끝이 가는과 등의 기형과 발생,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발생 등
- 햇빛이 강하고 광합성이 왕성한 날에는 야간의 온도를 높여주고 구름이 끼어 광합성이 약하면 야간의 온도를 약간 낮추어 관리함
마늘, 양파
❍ (월동 중 수분관리) 토양이 건조하면 양분흡수 저해 및 동해 우려
- 토양이 건조하면 찬 공기가 뿌리까지 들어가 얼어 죽기 쉬우므로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어 태양열에 의한 지온 상승 유도
- 골에 관수할 때는 물이 골에 차면 바로 물을 완전히 빼 줌, 습해유의
❍ (본답 관리)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비닐이 날리지 않도록 고정함, 한지형 마늘은 땅이 얼기 전 비닐피복 완료함
시설하우스 화재 대책
【사전대책】
❍ 온실화재는 전기와 화기취급 부주의로 발생하므로 사전에 철저히 점검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함
* 난방기, 보일러, 전선, 유류배관 등 시설물에 대한 사전점검 및 정비 철저
【난방기 관리】
❍ 혹한 시에는 바깥의 연료공급 호스에 있는 연료가 얼면 난방기가 멈추므로 연료공급 호스를 보온자재로 감싸주도록 함
❍ 온실 면적에 알맞은 용량의 난방기 사용, 온풍난방기 연통과 비닐이 접하는 부분은 열차단 피복재를 사용, 낡은 전선은 바꿔줌
❍ 분전반 내부의 먼지는 에어컴프레서나 세정액으로 청소함
❍ 난방시설의 유류 배관 누유현상 등 점검
【전기 화재 예방】
❍ 온실 내부는 야간에 습도가 매우 높아지므로 특히 누전으로 인한 화재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전기설비 관리에 유의하고 초과전류 발생 시 차단하는 정격용량의 퓨즈 또는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하여 적정 규격의 전선을 사용
❍ 배전반은 각종 부식성가스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시로 청소해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함
【정전, 난방기 고장 시 대응】
❍ 알코올램프, 촛불 등으로 작물이 얼지 않게 하고 난방기 배관에서 기름이 새는지 점검함
❍ 알코올램프는 10a당 10개, 촛불은 10a당 50개, 가스 토치는 10a당 5개를 사용하면 피해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음
* 화재 위험성에 특별 주의 및 관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