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1. Home
  2.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3. 딸기의 주요 병해 발생과 방제 방법

딸기의 주요 병해 발생과 방제 방법

· 댓글개 · 핵심픽
반응형

딸기의 병해 발생은 품종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국내에서 주요로 생산되고 있는 촉성재배 딸기의 종류는 설향, 금향, 매향, 레드펄, 아키히메로 각 품종마다 다른 병해의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품종 저항성

각 품종마다 어떤 저항성에 강한지 확인하여 딸기에 병해가 발생하였을 때 정확한 진단과 방제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딸기의 주요 병해

1. 딸기 탄저병

  • 증상

- 러너와 엽병에 수침상으로 흑변 되며 연육 색의 분생자층을 형성합니다.

크라운 부위에 침입하면 바깥 부분에서 안쪽으로 갈변되고 드물게 잎에 검은 반점을 형성됩니다.

 

  • 병원균

- 고온다습 조건을 선호하며 물에 의한 전염을 합니다.

 

  • 방제방법
  1. 탄저병은 물에 의해서 전파되기 때문에 비가림 재배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
  2. 건전한 모주를 선택하고 포트나 격리 벤치를 사용하여 육묘하며 자묘도 점적호스를 이용
  3. 차근육묘 시 지중 저면관수와 바닥 멀칭 시 부직포를 이용
  4. 피해 입은 포기와 피해 경엽은 바로 제거
  5. 과다한 질소나 칼리 시비를 피해야 함
  6. 화학적 방제로 딸기에 등록된 작물 보호제를 사용 기준에 준수하여 충분히 살포 (잎의 뒷면까지 꼼꼼히), 치료적 살포보다는 예방적으로 살포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7. 러너 절단 및 하엽 제거 작업 후 바로 탄저병 약제를 살포하여 예방
  8. 절단용 가위도 약제나 알코올로 소독 후 사용
  9. 딸기 육묘 후기(7월) 탄저병 감염 전 수용성 규소를 7일 간격으로 3회 엽면 처리
  10. 생물적 방제는 딸기 탄저병균 억제 효과가 있는 미생물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NSB-1) 등을 예방적으로 잎 및 관부 등에 충분히 묻히도록 살포

 

 

2. 딸기 역병

  • 증상

- 식물체 전체가 시드는 증상을 보이며 잎, 러너, 꽃대, 관부, 뿌리 등에 발생합니다.

잎은 물에 데친 증상을 보이며, 관부는 초기에 암갈색을 띠며 갈변됩니다.

도관과 도과 사이가 갈변하고 공동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러너와 꽃대가 마르고 뿌리와 유관 속 부위가 갈변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 병원균

-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이나 피해 조직에 생존, 주로 토양 전염과 물에 의한 전염으로 병이 발생하며 습도가 높은 포장에서 발생이 많은 경향을 보입니다. '설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발생이 높다

 

  • 방제 방법
  1. 발생이 된 토양이나 상토는 소독하여 사용
  2. 수분 관리가 불량한 경우 발생이 높으므로 과습이나 과건조하지 않게 관리
  3. 발생된 식물체는 바로 제거
  4. 발생 시 딸기에 등록된 작물 보호제를 사용

 

 

3. 딸기 시듦병

  • 증상

- 새잎이 황록색이 되거나 작아지고, 3 소엽 중 1 소엽이 다른 소엽에 비해 작게 되어 낙엽이 되어 나오게 됩니다.

근관부와 엽병이 일부 갈변되어 있거나 포기 전체의 생육이 불량해집니다.

피해 포기의 관부, 엽병, 과병을 절단해 보면 도관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갈색에 흑갈색으로 변하고 하얀 뿌리는 거의 없으며 흑갈색으로 부패한 것이 많습니다.

육묘 포장의 모주에 발생하면 러너 발생 수가 적어지고 러너의 새잎에도 기형엽이 발생합니다.

수확기에 발생하면 착과가 적게 되고 과실 비대도 나빠집니다.

 

  • 병원균

- 병원균은 딸기만 침입하고 대형, 소형, 분생 포자와 후막 포자를 형성하며 27도 이상의 고온과 낮은 토양 산도를 선호합니다. 발생 시기는 육묘기에는 7~9월, 반촉성재배 시에는 2월 이후로 많이 발생

 

  • 방제 방법
  1. 무병 포장에서 채묘하고 연작을 피해야 함
  2. 시듦병은 토양 전염성 병해이기 때문에 태양열 소독이나 토양훈증제를 이용한 철저한 토양소독 실시
  3. 시듦병 균이 러너를 통하여 모주까지 감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삽목 육묘를 실시

 

4. 딸기 잿빛곰팡이병

  • 증상

- 과실, 꽃받침, 과경, 잎, 엽병 등의 지상 부위에 주로 피해가 나타나며 특히 과실에 큰 피해를 입힙니다.

어린 과실에 침입하여 갈변 또는 흑 갈변하고, 다습 시에는 부패하고 잿빛의 병원균이 발생합니다.

수정 후 꽃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을 때 탁엽이 적색으로 되며 갈변, 흑 갈변하고 썩게 됩니다.

 

  • 병원균

- 저온 다습 조건을 선호하며 부생성이 강한 곰팡이로 포자에 의해 화분매개, 풍매 전염을 합니다. 질소 비료가 많아 경엽이 많아진 경우나 밀식한 경우에는 통풍이 불량해서 발생하기가 쉽습니다.

촉성, 반촉성 재배 시에는 12~4월, 노지는 3~5월에 대량 발생합니다.

 

  • 방제 방법
  1. 다습 조건을 선호하기 때문에 통풍을 양호하게 하며 관수에 주의하고 다습을 피해야 함
  2. 고사엽, 노화엽, 발병 엽, 발병 과일은 제거하여 비닐하우스 밖으로 버리고 작물 보호제를 처리한다
  3. 살균제는 개화 50% 이내일 때 혹은 냉해 발생 전 약제를 처리해야 효과적 (개회기 처리 시 화분발아에 영향이 적은 약제를 선정)

 

 

5. 딸기 흰가루병

  • 증상

- 딸기의 잎, 엽병, 꽃, 화경, 과일 등 여러 부분에 발생하게 됩니다

잎에서는 흰가루 모양의 작은 반점을 형성하며, 하엽 뒷면에 적갈색 반점 형상이 진전되면 회백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며 잎이 휘어집니다.

꽃망울에 발생하면 꽃잎에 안토시아닌 색소가 형성되어 자홍색으로 변화됩니다.

과일에서는 침해된 부분이 생육이 늦어지고 착색이 진행되지 않으며 하얗게 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집니다.

 

  • 병원균

- 살아있는 식물체 위에서만 생활하는 기생 생활을 합니다. 병원균의 최적 온도는 20도이고 발병이 필요한 습도는 30~100%까지 넓은 범위를 가집니다. 촉성 및 반촉성재배는 2~4월, 노지재배는 3~5월에 대량 발생합니다.

 

  • 방제 방법
  1. 무병주를 선전해 채묘하며 묘를 튼튼하게 재배
  2. 통풍이나 환기 및 관수에 주의를 요하며, 발생 잎이나 발병 과실은 바로 제거하고, 정식 시의 묘는 본엽을 3장 정도만 남기고 하엽을 제거
  3. 화학적 방제는 수확기에 발생이 심하면 방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육묘기와 보온 개시기, 개화기 이전에 약제 살포를 철저히 하여 예방 위주로 방제
  4. 딸기에 등록된 작물 보호제를 안전 사용 기준에 따라 처리

 

 

6. 딸기 윤반병

  • 증상

- 초기 병반은 하엽에 자적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며, 1cm 이상의 대형 병반이 되어 부정형도 있고 자갈색이며 중심부는 엷은 회색을 보입니다.

병반 중앙에 소립 흑점이 다수 형성됩니다.

잎자루, 러너에는 적자색 장타원형의 약간 움푹 들어간 병반이 생기고, 그 주위는 위아래로 길게 빨간색의 무늬가 형성됩니다.

병이 진전되면 병반은 더욱 움푹하게 되며 그 부분의 위쪽은 말라죽게 됩니다.

 

  • 병원균

- 병 자각은 직경 140~ 210um이며 침적되고 흑색입니다. 공기 전염성 병해로 제1차 발생원은 피해 엽과 엽방입니다. 병 자각 내부에는 다수의 병 포자가 있고 포자는 바람과 비에 의해서 전염됩니다.

 

  • 방제 방법
  1. 비료성분이 적고 생육 부진할 시 많이 발생하므로 적절한 비배관리를 하고 이병엽은 바로 제거
  2. 수확 후 오래된 잎은 모두 제거
  3. 중점질 토양으로 다습 조건 시 많이 발생하므로 과습에 주의

 

7. 딸기 세균모무늬병

  • 증상

- 잎, 엽병, 러너, 꽃받침, 꽃에 발생합니다. 초기 하엽 표면에 수침상으로 모무늬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병징을 햇빛에 비추면 투명하게 보이고 노란색의 달무리를 형성하며 과습 상태에서 병반 위에 세균액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이후 상위 엽에도 발생하며 부정형, 적갈색의 반점을 형성하고 결국 괴사 됩니다.

 

  • 병원균

- 병원균은 검역대상 병해충으로 그램 음성 세균입니다. 월동된 식물체와 죽은 조직으로 전염되며, 주간온도가 높거나 (약 20도) 야간온도가 낮은 경우, 상대습도가 높은 경우, 잎의 결로 시간이 긴 경우 발병률이 높다

 

  • 방제 방법
  1. 육묘기 자묘에 발생한 병반은 바로 제거하여 소각 등 폐기
  2. 병이 발생했던 포장은 토양 소독을 실시
  3. 발생 지역에서 묘는 구입하지 않고 병에 걸리지 않는 무병묘를 사용
  4. 비가림 육묘를 실시하고 두상 관수를 회피

 

 

출처 및 참고 - 농사로(딸기)

반응형
SNS 공유하기
💬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