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해당되는 글 38
  • thumbnail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원예 초보지식)꽃과 채소에 사용하는 비료의 기본개념

    정원이나 텃밭에서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 필수적인 비료, 그 종류는 다양하며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어떤 비료를 사용하면 좋을까?', '비료의 종류와 사용 시기' 등 원예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비료에 대해서 정리하여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앞으로 식물에 비료를 주실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왜 비료가 필요할까? - 사람이 밥을 먹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것처럼, 식물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양분이 필요합니다. 텃밭이나 화분에서 키우는 식물인 경우에는 자연에서 자라는 식물과 달리 땅속의 영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흡수를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비료로 영양을 보충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비료의 성분..
  • thumbnail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계절별 화분에서 기르는 추천 텃밭 채소 야채 13가지

    기본적인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하는 텃밭채소 기르는 방법은 밑에 링크를 통해서 확인해 보세요. 아주 기본적인 상추, 쌈, 허브류는 제외를 하였습니다. 또는 따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화분에서 기르는 추천 봄, 여름, 가을 채소 9종류 1. 방울 토마토 - 방울 토마토는 봄에 심어 여름부터 가을까지 오랫동안 수확이 가능한 야채입니다. 품종도 정말 다양하기 때문에 기르는 재미도 있는 방울 토마토를 추천드립니다. 2. 가지 - 가지는 봄에 심어서 여름부터 가을까지 오랫동안 수확이 가능합니다. 삶고, 저리고 구워서도 먹는 가지또한 추천드리는 채소입니다. 3. 오이 - 오이는 여름이 제철인 싱싱한 야채입니다. 보통 4~5월에 파종을하여 여름에 수확을 하셔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아침 이슬에 젖어 있는 싱싱한 오이를..
  • thumbnail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초보자들에게 추천하는 텃밭 채소 키우기 기초 지식

    텃밭을 한번 시작해 보시겠습니까? 직접 키운 채소는 향기도 맛도 각별합니다. 초보자도 알기 쉬운 기초 지식과 키우기 쉬운 야채를 계절별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텃밭은? - 텃밭이라고 하면 집의 부지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공간을 만들어서 양육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은 대단해 보이지만 사실 크게 부담가지실 필요 없습니다. 베란다에서 간단하게 키우는 것도 텃밭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니까요. 중요한 것은 목적을 명확하게 두셔야 합니다. 즉 자신이 먹고 싶은 야채와 만들고 싶은 요리를 확실히 해 두는 것입니다. 만약 흥미가 떨어지는 채소를 기르게 된다면 흥미와 기쁨이 반감이 되어 버립니다. 우선 먹고 싶은 야채와 자주 요리에 사용하는 야채를 길러보는게 좋습니다. 초보자들을 위한 텃밭 기초 지식 1. 물 기준 -..
  • thumbnail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영양만점 새싹작물 키우는 방법 및 효능 알아보기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여가활동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내에서 새싹작물 등 텃밭을 가꾸면 건강한 먹거리 생산은 물론 우울하고 무기력해진 마음까지 치유 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건강을 챙기며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는 여가생활로 새싹보리·새싹밀·새싹귀리·새싹삼 등 새싹작물 키우기를 권장하고, 실내 텃밭 가꾸기의 치유 효과를 소개합니다. 새싹작물 재배로 여가생활 및 건강챙기기 - 새싹작물은 일반적으로 싹이 트고 3∼9일이 지나 1∼3개 정도의 잎이 난 어린 새싹상태를 말합니다. 싹이 10∼20cm 정도 자랐을 때 가장 많은 영양성분과 건강 기능성 물질이 들어 있습니다. - 새싹작물을 키우면 코로나로 인한 우울감·무기력증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
  • thumbnail
    농업 정보/텃밭과 농업

    조직배양이란 무엇인가? '무병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조직배양이란? - 조직배양이란 무균 상태에서 식물의 생장점을 채취하여 배지로 옮겨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시키는 무병묘 생산기술입니다, 보통 바이러스에 취약한 감자나 고구마 또는 화훼류에서 사용되는데요, 저는 딸기 모종을 조직배양으로 생산하는 시설을 본적이 있었습니다. 완벽한 '무균'을 지양하기 때문에 일반인은 완전히 출입 불가로 매우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었죠 조직배양을 하는이유? - '모 농사가 농사의 절반'이라는 말 들으신적 있으신가요? 모종이 그 해의 농사의 반을 책임질만큼 모종 농사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데요, 만약 이렇게 중요한 종자나 묘가 병에 걸렸다면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이 크게 감소될 것 입니다. 조직배양은 식물의 생장점을 채취하여서 바이러스나 병균이 없는 무균상태에서 '무병묘'를 생산하고 있습..